핵붕괴 조작 Nuclear Decay Manipulation | |
---|---|
![]() | |
핵붕괴의 종류. | |
힘/능력: | 핵붕괴를 제어 및 조작하십시오. |
개요[]
핵붕괴를 조작하는 능력. 원자핵 조작(Atomic Nucleus Manipulation)과 반원자핵 조작(Anti-Atomic Nucleus Manipulation)의 하위 능력.
다른 이름[]
- 방사성 붕괴 조작
- 核崩壞操作/造作
- 放射性崩壞操作/造作
- Nuclear Decay Control
- Radioactive Decay Manipulation/Control
상세[]
사용자는 핵붕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불안정한 원자를 안정하게 만들거나 혹은 더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핵의 화염(Nuclear Fire)를 생성하거나 주변을 방사능으로 오염시키고 상대에게 방사선 중독이라는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방사성 붕괴(핵 붕괴, 방사능, 방사성 붕괴 또는 핵 분해라고도 함)는 알파 입자, 중성미자가 있는 베타 입자 또는 전자 포획의 경우 중성미자만 또는 감마선에 의해 불안정한 원자핵이 방사선에 의해 에너지를 상실하는 과정입니다. 내부 전환의 경우 감마선 또는 전자입니다. 불안정한 핵이 포함된 물질은 방사능으로 간주됩니다. 매우 들뜬 특정 단명 핵 상태는 중성자 방출, 또는 더 드물게 양성자 방출로 붕괴될 수 있습니다.[1]
붕괴 모드[]
- 질량수 = A
- 원자 번호 = Z
핵붕괴 모드(Decay modes)
| |||
붕괴 모드 | 참여 입자 | 딸핵 | |
---|---|---|---|
핵이 방출된 붕괴 | |||
α | 알파 붕괴 | 알파 입자(A = 4, Z = 2)가 핵에서 방출됩니다. | (A − 4, Z − 2) |
αα | 이중 알파 붕괴 | 알파 입자(A = 4, Z = 2) 2개가 핵에서 동시에 방출됩니다. | (A − 8, Z − 4) |
xα | 다중 알파 붕괴 | 3개 이상의 알파 입자(A = 4, Z = 2)가 핵에서 동시에 방출됩니다. | (A − 4x, Z − 2x) |
p | 양성자 방출 | 양성자가 핵에서 방출됩니다. | (A − 1, Z − 1) |
2p | 이중 양성자 방출 | 두 개의 양성자가 핵에서 동시에 방출됩니다. | (A − 2, Z − 2) |
xp | 다중 양성자 방출 | 세 개 이상의 양성자가 핵에서 동시에 방출됩니다. | (A − x, Z − x) |
n | 중성자 방출 | 중성자가 핵에서 방출됩니다. | (A − 1, Z) |
2n | 이중 중성자 방출 | 두 개의 중성자가 핵에서 동시에 방출됩니다. | (A − 2, Z) |
xn | 다중 중성자 방출 | 세 개 이상의 중성자가 핵에서 동시에 방출됩니다. | (A − x, Z) |
SF | 자발적 핵분열 | 핵은 둘 이상의 작은 핵 및 다른 입자로 분해됩니다. | — |
CD | 뭉치 붕괴 | 핵은 알파 입자보다 큰 특정 유형의 작은 핵(A1, Z1)을 방출합니다. | (A − A1, Z − Z1) + (A1, Z1) |
CDCD | 이중 뭉치 붕괴 | 핵은 알파 입자보다 큰 특정 유형의 작은 핵(A1, Z1) 2개를 방출합니다. | (A − 2A1, Z − 2Z1) + 2(A1, Z1) |
베타 붕괴의 모드 | |||
β− | 음의 베타 붕괴 | 핵은 전자와 전자 반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A, Z + 1) |
β+ | 양의 베타 붕괴 | 핵은 양전자와 전자 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A, Z − 1) |
속박 상태 베타 붕괴 | 자유 중성자 또는 핵 베타 붕괴는 전자와 반중성미자로 붕괴되지만, 전자는 빈 K-껍질 속에 포획되기 때문에 방출되지 않습니다; 딸 핵은 여기 불안정한 상태로 남겨집니다. 이 과정은 수소 이온화의 낮은 에너지로 인해 소수 자유 중성자 붕괴 (0.0004%)이며, K-껍질 공석이 있는 이온화 원자를 제외하고 억제됩니다. | (A, Z + 1), (A, Z − 1) | |
β−β− 2β− |
이중 베타 붕괴 | 핵은 두 개의 전자와 두 개의 반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A, Z + 2) |
β+β+ 2β+ |
이중 양전자 붕괴 | 핵은 두 개의 양전자와 두 개의 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A, Z − 2) |
xβ± M-β± |
다중 베타 붕괴 | 핵 곳곳에서 베타 붕괴가 거의 동시에 일어나며 3개 이상의 전자와 반중성미자 또는 양전자와 중성미자가 방출됩니다. | (A, Z ± x) |
ε (EC) |
전자 포획 | 핵은 궤도를 도는 전자를 포착하고 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딸 핵은 여기 불안정한 상태로 남겨집니다. | (A, Z − 1) |
εε | 이중 전자 포획 | 핵은 두 개의 궤도 전자를 흡수하고 두 개의 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딸 핵은 여기 불안정한 상태로 남겨집니다. | (A, Z − 2) |
β+ ε + e+ |
양전자 방출 전자 포획 |
핵은 한 개의 궤도 전자를 흡수하고, 한 개의 양전자와 두 개의 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 (A, Z − 2) |
ε+ (PC) |
양전자 포획 | 핵은 주변에서 날아오는 양전자를 포착하고 중성미자 또는 반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딸 핵은 여기 불안정한 상태로 남겨질 수 있습니다. | (A, Z − 1), (A, Z + 1) |
ε+ε+ |
이중 양전자 포획 | 핵은 주변에서 날아오는 2개의 양전자를 포착하고 중성미자 또는 반중성미자를 방출합니다; 딸 핵은 여기 불안정한 상태로 남겨질 수 있습니다. |
(A, Z − 2), (A, Z + 2) |
베타 붕괴의 지연 모드 | |||
β±n | 베타 지연 중성자 방출 | 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중성자를 방출합니다. | (A − 1, Z + 1) (A − 1, Z − 1) |
β±2n | 베타 지연 이중 중성자 방출 | 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2개의 중성자를 방출합니다. | (A − 2, Z + 1) (A − 2, Z − 1) |
β±xn | 베타 지연 다중 중성자 방출 | 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3개 이상의 중성자를 방출합니다. | (A − x, Z + 1) (A − x, Z − 1) |
β±p | 베타 지연 양성자 방출 | 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양성자를 방출합니다. | (A − 1, Z + 1 − 1) (A − 1, Z − 2) |
β±2p | 베타 지연 이중 양성자 방출 | 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2개의 양성자를 방출합니다. | (A − 2, Z + 1 − 2) (A − 2, Z − 3) |
β±xp | 베타 지연 다중 양성자 방출 | 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3개 이상의 양성자를 방출합니다. | (A − x, Z + 1 − x) (A − 3+x, Z − 4+x) |
β±α | 베타 지연 알파 방출 | 원자핵은 β±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그 후 α 입자를 방출합니다. | (A− 4, Z − 1) (A− 4, Z − 3) |
β±d | 베타 지연 중수소 방출 | 원자핵은 β±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그 후 중수소를 방출합니다. | |
β±t | 베타 지연 삼중수소 방출 | 원자핵은 β±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그 후 삼중수소를 방출합니다. | |
β±SF | 베타 지연 핵분열 | 원자핵은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그 후 자발적인 핵분열을 겪습니다. | |
β±β±xn/xp 2β±xn/xp |
이중 베타 지연 양/중성자 방출 | 원자핵은 이중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양성자 또는 중성자를 방출합니다. | |
β±β±α/d/t 2β±α/d/t |
이중 베타 지연 알파/중수소/삼중수소 방출 | 원자핵은 이중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α 입자 또는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를 방출합니다. | |
β±β±SF 2β±SF |
이중 베타 지연 핵분열 | 원자핵은 이중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그 후 자발적인 핵분열을 겪습니다. | |
xβ±xn/xp | 다중 베타 지연 양/중성자 방출 | 원자핵은 여러 번의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양성자 또는 중성자를 방출합니다. | |
xβ±α/d/t | 다중 베타 지연 알파/중수소/삼중수소 방출 | 원자핵은 여러 번의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α 입자 또는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를 방출합니다. | |
xβ±SF | 다중 베타 지연 핵분열 | 원자핵은 여러 번의 β± 방출에 의해 붕괴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그 후 자발적인 핵분열을 겪습니다. | |
동일한 핵 상태 간의 전환 | |||
IT | 이성질핵 전이 | 여기된(흥분된) 핵은 고에너지 광자 (감마선)를 방출합니다. | (A, Z) |
내부 전환 | 여기된(흥분된) 핵은 에너지를 궤도 전자에 전달하고, 그 후에 원자로부터 방출됩니다. | (A, Z) |
반감기[]
반감기 (기호 t1⁄2)는 양이 초기 값의 절반으로 줄이는 데 필요한 시간입니다. 이 용어는 핵물리학에서 불안정한 원자들이 방사성 붕괴로부터 얼마나 빨리, 또는 얼마나 오랫동안 안정된 원자들이 살아남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이 용어는 모든 유형의 기하급수적 또는 비기하급수적 붕괴 특성을 나타내는 데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의학은 인체에 있는 약물과 다른 화학물질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말합니다. 반감기의 반전은 시간이 두 배로 늘어납니다.[3]
양상 및 용례[]
기본기[]
- 아원자 탐지/시야(Subatomic Detection/Vision)
- 방사선 면역(Radiation Immunity)
- 핵물리학 직관력(Nuclear Physics Intuition)
심화/응용[]
핵붕괴 능력 목록[]
- 알파 붕괴 조작(Alpha Decay Manipulation)
- 베타 붕괴 조작(Beta Decay Manipulation)
- 뭉치 붕괴 조작(Cluster Decay Manipulation)
- 핵분열 조작(Nuclear Fission Manipulation)
- 양성자/반양성자 방출 유도(Proton/Anti-Proton Emission Inducement)
- 양성자/반양성자 방출 방지(Proton/Anti-Proton Emission Prevention)
- 중성자/반중성자 방출 유도(Neutron/Anti-Neutron Emission Inducement)
- 중성자/반중성자 방출 방지(Neutron/Anti-Neutron Emission Prevention)
- 감마 붕괴 유도/방지(Gamma Decay Inducement/Prevention)
- 광붕괴 조작(Photodisintegration Manipulation)
전투 계열[]
- 핵 공격(Nuclear Attacks)
- 핵 방어(Nuclear Defense)
- 핵 전투(Nucleokinetic Combat)
조작 계열[]
- 원자핵/반원자핵 불안정화(Atomic/Anti-Atomic Nucleus Destabilization)
- 핵붕괴 유도(Nuclear Decay Inducement)
- 핵붕괴 증가(Nuclear Decay Increase)
- 연속 핵붕괴 유도(Continuation Nuclear Decay Inducement)
- 핵붕괴 가속(Nuclear Decay Acceleration)
- 핵붕괴 감속(Nuclear Decay Deceleration)
- 핵붕괴 감소(Nuclear Decay Decrease)
- 핵붕괴 억제(Nuclear Decay Suppression)
- 원자핵 유지(Atomic Nucleus Maintenance)
- 원자핵/반원자핵 안정화(Atomic/Anti-Atomic Nucleus Stabilization)
- 견고한 원자핵/반원자핵(Solid Atomic/Anti-Atomic Nucleus)
응용 계열[]
- 핵붕괴 감지(Nuclear Decay Senses)
- 반감기(Half-Life)
- 반감기 증대(Half-Life Augmentation)
- 반감기 축소(Half-Life Reduction)
- 생물/생명체(Biology/Life)
- 방사선 중독 유도/방지(Radiation Poisoning Inducement/Prevention)
- 암 유도/방지(Cancer Inducement/Prevention)
- 암세포 파괴(Carcinolysis)
- 방사성 돌연변이 유도/방지(Radioactive Mutation Inducement/Prevention)
- 방사선 생성(Radiation Generation)
- 방사성 빛 생성(Radioactive Light Generation)
- 방사성 이온화 능력(Radioionization)
- 방사성 폭발 유도(Radioactive Explosion Inducement)
- 방사성 중폭발 유도(Radioactive Middle Explosion Inducement)
- 방사성 대폭발 유도(Radioactive Massive Explosion Inducement)
- 방사선 증강(Radiation Augmentation)
- 방사선 감소(Radiation Decrease)
- 방사성 폭발 방지(Radioactive Explosion Prevention)
- 핵폭발 유도/방지(Nuclear Explosion Inducement/Prevention)
- 아원자(Subatomic)
특수형[]
- 핵붕괴 예지력/역지력(Nuclear Decay Prescience/Retroscience)
- 핵붕괴 권한 부여(Nuclear Decay Empowerment)
변형/강화 능력[]
핵붕괴/물질 계열[]
- 핵붕괴 마법(Nuclear Decay Magic)
- 원자핵 조작(Atomic Nucleus Manipulation)
- 반원자핵 조작(Anti-Atomic Nucleus Manipulation)
- 동위원소 조작(Isotope Manipulation)
- 반동위원소 조작(Anti-Isotope Manipulation)
힘 및 에너지 계열[]
- 핵 에너지 조작(Nuclear Energy Manipulation)
- 양자 전자기력 조작(Quantum Electromagnetic Force Manipulation)
- 강력 조작(Strong Force Manipulation)
- 핵력 조작(Nuclear Force Manipulation)
- 전자기약력 조작(Electro-Weak Force Manipulation)
- 약력 조작(Weak Force Manipulation)
상위 능력[]
한계점 및 단점[]
- 거리, 질량, 정밀도 등은 사용자가 지닌 지식과 그 힘의 자연 한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통제 불능일 수도 있습니다.
- 주변에 큰 방사성 피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 알파선은 종이, 베타선은 나무 판자나 철 등, 감마선은 두꺼운 콘크리트나 두께가 꽤 있는 납에 막힐 수 있습니다.
- 이미 붕괴가 진행된 원자는 제어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각주[]
- ↑ Radioactive decay (방사성 붕괴, 핵붕괴) Wikipedia (위키백과)(영어)
- ↑ Radioactive decay's Decay_modes (방사성 붕괴의 붕괴 모드) Wikipedia (위키백과)(영어) 를 참조함.
- ↑ Half-life (반감기) Wikipedia (위키백과)(영어)